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위스키 입문 초보자 가이드 #2 「버번 위스키」

by 지식한꼬집 2025. 2. 16.

지난번 위스키 입문 초보자 가이드 #1, 스카치 위스키에 이어서 오늘은 두 번째로 한 번 빠져들면 빠져나오기 힘든 강렬한 매력의 '버번 위스키'를 알아볼 예정인데요.

스코틀랜드에서 생산되는 스카치 위스키와 양대 산맥인 버번 위스키는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등에 관련하여 지식 한 꼬집을 낱낱이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더보기

버번 위스키란?

        버번 위스키의 생산 조건

        스카치 위스키와 차이점

버번 위스키의 심장, 켄터키

        켄터키 버번 위스키 3대장

버번 위스키 추천

       취향에 따른 추천

버번 위스키 특징

       숙성 연수

       테네시 위스키

마무리

 


 

 

버번 위스키란?

버번 위스키는 흔히 미국에서 생산하는 위스키라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잘못된 상식으로, 미국에서 생산하는 모든 위스키를 버번 위스키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아메리칸-위스키-종류-버번-위스키란



미국에서 생산되는 위스키는 원료와 제조 공정에 따라 '버번 위스키', '라이 위스키', '위트 위스키', '테네시 위스키', '콘 위스키' 등 다양한 종류의 아메리칸 위스키가 존재하며, 그중 버번 위스키는 미국을 대표하는 위스키 중 하나입니다. 

 

버번 위스키 생산 조건

버번 위스키는 스카치 위스키와 마찬가지로 버번 위스키라는 이름을 붙이기 위해서는 스카치 위스키보다 더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해야만 버번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는데요. 

일단 기본적을 옥수수를 51% 이상 사용해 생산해야 하며, 스카치 위스키에는 캐러멜 색소가 들어가는 반면, 버번은 물 외 어떤 첨가물을 넣지 않아야 합니다. 

여기에 증류하는 최종 알코올 도수가 80% 이하가 되어야 하고, 내부를 불로 그을린 새 오크통에서 숙서을 해야 합니다. 또한 오크통에 저장 당시 도수는 125 푸르프(62%) 이하로 관리합니다. 

 

마지막으로 숙성을 마친 위스키를 병에 포장할 때 알코올 도수는 80 푸르프(40%) 이상이어야 버번 위스키라고 이름을 붙일 수 있습니다. 

 

버번 위스키 조건

  • 주원료: 옥수수 51% 이상
  • 첨가물: 물 이외의 조미료나 색소 첨가 금지
  • 증류 도수: 최종 알코올 도수 160 프루프(80%) 이하
  • 숙성 방법: 내부를 그을린 새 오크통에서 숙성
  • 숙성 당시 도수: 알코올 도수 125 프루프 이하
  • 병에 담을 당시 도수: 알코올 도수 80 프루프(40%) 이상

 

스카치 위스키와 차이점

스카치 위스키와 버번 위스키는 막상 찾아보면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생산 지역 스코틀랜드 미국 (제조 과정만 준수하면 어디든 가능)
오크통 재사용 오크통 새 오크통 (내부를 태운)
주원료 맥아 (보리) 옥수수 51% 이상
풍미 섬세하고 다양한 향 달콤하고 강렬한 풍미 (바닐라, 참나무 향)
색상 캐러멜 색소 사용 (황금색) 캐러멜 색소 미사용 (짙은 갈색)
알코올
도수 표기
% 프루프 (proof)
용량 700ml 750ml (일반적)
영문 표기 Whiskey (e 없음) Whisky (e 있음)

 

버번 위스키의 심장, 켄터키

켄터키는 버번 위스키의 대표적인 생산 지역입니다. 메이커스 마크, 와일드 터키, 버팔로 트레이스 등 유명 증류소들이 모두 켄터키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켄터키-버번-위스키-3대장



18세기 아일랜드 이주민들이 켄터키 지역에 정착하면서 옥수수를 이용해 위스키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 오늘날 켄터키를 버번 위스키의 상징으로 만들었습니다.

켄터키의 옥수수 공급량 외에도 석회암 지대의 물 또한 버번 위스키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석회암 지대를 통과하면서 철분이 자연 여과되어 위스키의 맛이 쓰지 않고 색이 검게 변하는 것을 방지해줍니다. 

 

켄터키 버번 위스키 3대장

켄터키를 대표하는 버번 위스키 3대장으로는 모두가 많이 들어봤을 빨간 왁스 봉인이 인상적인 '메이커스 마크', 6~8년 숙성으로 부드러운 풍미를 자랑하는 '버팔로 트레이스', 높은 도수와 강렬한 스모키 함과 진한 단맛이 균형 잡힌 '와이드 터키 8년'이 있습니다. 

 

켄터키 대표 위스키

  • 메이커스 마크: 빨간 왁스 봉인이 특징. 은은한 오크 향과 바닐라 향의 조화가 훌륭한 위스키로, 시중에서 5만 원대로 구입 가능합니다. 
  • 버팔로 트레이스: 6~8년 숙성. 부드러운 풍미와 편안한 목 넘김이 편한 편입니다. 시중에서 4~5만 원 사이로 구입 가능합니다. 
  • 와일드 터키 8년: 높은 도수와 호밀 함량. 강렬한 타격감과 진한 단맛의 균형으로 유명합니다. 시중에서 5만 원 후반대로 구매 가능합니다. 

 

버번 위스키 추천

이미 위에서 설명한 켄터키 버번 위스키 3대장을 마셔보셨다면, 3가지 위스키의 취향을 기준으로 다른 버번 위스키를 추천드려 보겠습니다. 

 

버번-위스키-추천

 

취향에 따른 추천

개인적인 취향으로 메이커스 마크가 괜찮았다면, 메이커스 마크와 같은 왁스 밀봉 라인 중 '납크릭' 또는 '부크스'를 마셔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버팔로 트에이스가 괜찮았다면 우드포드 리저브를 추천드리며, 와일드 터키 8년이 괜찮았다면 와일드 터키 레어브리드 같은 고도수의 위스키도 좋습니다.  

 

 

  • 메이커스 마크를 좋아하셨다면: 납 크릭, 부커스
  • 버팔로 트레이스가 좋았다면: 우드포드 리저브
  • 와일드 터키 8년이 입맛에 맞았다면: 와일드 터키 레어브리드, 러셀의 싱글 배럴

 

 

버번 위스키 특징

버번 위스키를 보고 있으면 재미있는 부분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숙성 연도인데요. 이전 시간에 알아본 스카치 위스키는 최소 3년 이상 숙성해야 하지만, 버번 위스키는 이러한 규정이 없습니다. 

 

숙성연도

버번 위스키에는 최소 숙성 기간 규정이 없습니다. 10초만 오크통에 담갔다 빼더라도 버번 위스키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풍미와 맛을 위해 대부분 2년 이상 숙성하며, 2년 이상 숙성한 위스키에는 "스트레이트" 표기를 할 수 있습니다.

4년 이상 숙성한 위스키는 숙성 연수를 표기하지 않아도 되며, 8년 이상 숙성하면 고숙성으로 인정되어 숙성 기간을 표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숙성 연도를 이렇게 관리하는 이유는, 스코틀랜드는 1년 내내 서늘한 기온을 유지하게 때문에 숙성이 천천히 이루어지고, 오랜 시간 보관하더라도 위스키의 품질에 영향이 없습니다. 

하지만 켄터키 지역은 사계절 기온 변화가 뚜렷하여 여름에는 증발량이 많고 숙성이 빠르게 일어납니다. 따라서 위스키 품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숙성 연수가 스카치 위스키에 비해 짧은 편입니다. 

 

테네시 위스키

테네시 위스키는 법적으로 버번 위스키에 속하지만, 제조 방법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테네시의 위스키 업체들의 요구로 법원 위스키와 구분하고 있습니다. 그냥 브랜드인 꼬냑을 브랜디라고 안 하고 꼬냑이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테네시 주에서 생산되며 숙성 전 단풍나무 숯으로 여과하는 "차콜 멜로링" 과정을 거칩니다. 차콜 멜로링 과정에서 단풍나무 특유의 향이 배어 차별화된 풍미를 가집니다. 

가장 유명한 테네시 위스키 중 대표적으로 '잭다니엘'이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미국 위스키로, 강렬한 블랙의 컬러의 병에 목 넘김이 매우 거칠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위스키 입문 초보자 가이드 두 번째로 버번 위스키에 대해서 지식을 한 꼬집 알아봤는데요. 어떻게 버번 위스키에 관심이 조금 가시나요?

버번 위스키는 한번 빠지면 헤어 나올 수 없는 매력적인 술입니다. 청바지처럼 거칠고 와일드하지만, 다양한 매력을 가진 버번 위스키의 세계에 빠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위스키 입문 초보자 가이드 및 추천 위스키 #1 「스카치 위스키」

 

위스키 입문 초보자 가이드 및 추천 위스키 #1 「스카치 위스키」

코로나19 이후 우리 생활 깊숙하게 들어온 양주 종류가 바로 위스키입니다. 누구나 한번 즐겨보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덜컥 아무 위스키나 사기에는 가격이 싸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이제 막 위

qstlife.tistory.com

양주 종류 꼬냑과 위스키 차이 「브랜디(꼬냑)의 유래」

 

양주 종류 꼬냑과 위스키 차이 「브랜디(꼬냑)의 유래」

살아가면서 꼬냑이라는 이름을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양주의 종류 중 위스키, 브랜디, 꼬냑은 술은 못 마시는 사람이라도 알 정도로 유명한 양주입니다. 그런데 이 양주 종류의 차이가 무

qstlife.tistory.com

양주 종류별 차이와 구분하는 기준 [위스키, 보드카, 브랜디, 데킬라, 진, 럼]

 

양주 종류별 차이와 구분하는 기준 [위스키, 보드카, 브랜디, 데킬라, 진, 럼]

막걸리 같은 한국 정통주가 있듯이 서양에도 위스키, 보드카, 브랜디, 데킬라, 진, 럼 등 같은 각 나라와 지방의 전통 술이 존재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서양의 전통주를 '양주'라고 부르

qstlife.tistory.com

숙취의 원인: 술을 마시면 머리가 아픈 의학적 이유

 

숙취의 원인: 술을 마시면 머리가 아픈 의학적 이유

"어제 술 너무 많이 마셨더니 머리가 깨질 것 같아." 누구나 한 번쯤은 경험해 봤을 숙취. 술 마신 다음 날 아침, 끔찍한 두통과 함께 찾아오는 불쾌한 증상들은 하루를 망치기 일쑤입니다. 왜 우

qstlife.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