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백금(플래티넘)과 화이트 골드를 같은 금속으로 오해합니다. 비슷한 은백색을 띠고 고급 장신구에 사용된다는 공통점 때문입니다. 하지만 백금과 화이트 골드는 엄연히 다른 금속입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백금과 화이트골드의 차이점과 특징, 가격 비교부터 백금의 역사까지 한 번에 알아볼 예정입니다. 어디 가서 잘난 척 가능할 정도의 지식 한 꼬집을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백금 화이트골드 차이점
오해와 진실
백금의 역사와 유래
발견 초기의 무시
동아시아에서의 백금
희소성과 생산의 특징
백금 화이트골드 차이점
많은 사람들이 백금(플래티넘)을 화이트 골드와 동일한 물질로 오해하고 있습니다. 이는 두 금속이 비슷한 은백색을 띠고 있으며, 고급 장신구의 재료로 사용된다는 공통점 때문입니다.
오해와 진실
화이트골드는 순수한 금에 니켈, 팔라듐, 아연 등의 은색 금속을 섞어 만든 합금으로, 로즈 골드가 금과 구리의 합금인 것처럼, 화이트 골드는 금을 기반으로 한 가공된 소재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화이트 골드는 포함된 니켈 성분으로 인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백금은 원자번호 78번의 순수 원소입니다. 금이나 은과 마찬가지로 독립된 금속 원소로, 합금이 아닌 순수 물질이며, 특히 백금은 알레르기 반응이 가장 적은 금속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여기에 금보다 무겁고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이 있으며, 공기 중의 분자와 거의 반응하지 않아 부식이나 변색이 거의 없다는 특정과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금의 역사와 유래
16세기, 스페인 탐험가들이 콜롬비아에서 금과 은을 채굴하는 과정에서 처음 백금을 발견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이 새로운 금속의 가치를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발견과 초기의 무시
16세기 백금이 발견되던 당시의 백금은 금과 은 사이에 끼어 있는 불순물로 취급되어 대부분 강으로 버려졌다. 이러한 경멸적인 인식은 백금의 스페인어 이름 'platina'(작은 은)에서도 드러나 있습니다.
이처럼 백금이 초기에 무시된 주된 이유는 높은 녹는점(1768℃) 때문이었습니다. 당시의 기술로는 백금을 녹여 가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습니다. 1557년 이탈리아의 과학자 율리우스 카이사르 스칼리게르는 "백금이 절대 녹지 않는다"는 좌절감 어린 기록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과학적 재발견과 가치 인정
백금의 진가가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18세기에 이르러서다. 1735년 스페인의 과학자 안토니오 데 울로아가 백금 샘플을 유럽으로 가져와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1752년에는 스웨덴의 헨릭 셰퍼가 백금의 뛰어난 내구성과 강도를 과학적으로 입증했습니다.
- 19세기 초에는 러시아 제국에서 화폐의 재료로 사용
- 서유럽에서는 고급 장신구의 소재로 사용
동아시아에서의 '백금'
흥미로운 점은 동아시아에서 '백금'이라는 용어가 매우 오래전부터 사용되었다는 사실이다. 고조선 시대의 무역 기록에서도 등장하는 이 용어는 당시에는 은빛을 띄는 금속류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의미였습니다.
현대적 의미의 플래티넘이 동아시아에 전해진 것은 19세기 말로 추정됩니다. 일본이 러시아를 통해 가장 먼저 받아들였으며, 이후 한국과 중국으로 전파되었습니다.
현재 중국에서는 백금(白金)이 화이트 골드를 지칭하고, 플래티넘은 '铂金'이라는 별도의 글자를 사용합니다. 반면 한국에서는 여전히 '백금'이라는 용어로 플래티넘을 지칭하고 있습니다.
현대 산업에서의 중요성
1980년대 초,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가 강화되면서 백금은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했습니다. 배기가스 절감을 위한 촉매변환기의 핵심 소재로 사용되면서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2000년대 초중반에는 금보다 두 배 가까이 비싼 가격에 거래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산업 수요가 감소하고, 디젤차 생산 감소, 대체 기술의 등장 등으로 인해 가격이 하락했다.
- 백금시세: 현재는 금 가격의 1/3 수준에 거래
- 현대 사업의 사용 분야: 의료, 전자, 화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소재로 사용
희소성과 생산의 특징
백금은 매장량이 금보다 20% 많음에도 불구하고, 연간 채굴량은 금의 6% 수준인 약 200톤에 불과하다. 이는 백금 매장지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러시아 등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채굴과 정제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이러한 생산의 지리적 편중성은 종종 정치사회적 불안정성과 맞물려 공급 차질을 야기하기도 하지만, 뛰어난 촉매 특성, 높은 내구성, 우수한 전기 전도성 등 백금만의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현대 산업에서 그 중요성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백금 가격과 향후 전망
현재 백금 시세는 화이트 골드의 평균 가격을 크게 상회합니다. 화이트 골드의 경우 순도와 배합 비율에 따라 가격이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14K 화이트 골드는 백금 가격의 40-50% 수준에서 형성되어 있습니다.
18K 화이트 골드의 경우에도 백금보다는 낮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 차이는 백금의 희소성, 높은 순도, 그리고 산업적 수요 때문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과거 2015년까지만 해도 백금과 금의 가격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그 이전에는 백금이 금보다 두 배 가까이 비쌌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산업 수요의 감소와 대체 기술의 등장으로 백금 가격이 하락하면서, 현재는 금 가격의 1/3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친환경 기술의 발전과 수소 연료전지 등 새로운 산업 분야에서의 수요 증가로 인해 백금의 가치가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우주에서 온 희귀 광물 금(金) 「금이 비싼 이유」
자신의 몸무게를 가치로 환산한다면 당신의 가치는 얼마나 될까요? 글을 쓰는 오늘을 기준으로 1kg에 1억 3천만 원이 넘어가는 가치를 가지는 물질이 있는데요. 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금'입
qstlife.tistory.com
한국인이 유독 얼죽아를 선호하는 이유
'얼죽아'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바로 '얼어 죽어도 아이스 아메리카노'의 줄임말로 한국 사람들은 추운 겨울에도 유독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즐겨 먹는 데에서 나온 말입니다.
qstlife.tistory.com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휴직 급여 신청 완벽 가이드: 꼭 알아야 할 조건부터 신청방법까지 (0) | 2025.02.20 |
---|---|
셰리 위스키의 모든 것: 입문자 추천 위스키 및 역사 (0) | 2025.02.17 |
위스키 입문 초보자 가이드 #2 「버번 위스키」 (0) | 2025.02.16 |
숙취의 원인: 술을 마시면 머리가 아픈 의학적 이유 (1) | 2025.02.15 |
전문가가 말하는 치매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 (0) | 2025.02.14 |
댓글